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형법3

점유이탈물횡령죄 피하는 방법, 성립요건, 처벌, 사례 (분실물 사용) 점유이탈물횡령죄 피하는 방법과 성립요건, 처벌에 대한 내용을 사례를 통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점유물이탈이라고 하면 다소 어렵게 느껴지시겠지만, 쉽게 말하면 다른사람이 물건을 잃어버린 것을 말합니다. 즉, 유실물(분실물)을 습득하였을 때 돌려주지 않은 것이 점유이탈물횡령죄라고 합니다.     먼저 벌률적 정의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이번 포스팅과 관련하여 도움 될만한 유튜브 영상을 공유하니 꼭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1. 점유이탈물횡령죄란? 형법 제360조에 따르면, 유실물(분실물), 표류물, 타인의 위탁물, 매장물을 횡령하면 처벌됩니다. 다시 말하면 다른 사람의 소유 상태(점유)가 일시적으로 이탈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물건을 가져가서 사용하거나 돌려주지 않는다면 불법이라는 것입니다. ▣ 관련 .. 2025. 3. 23.
무죄보다 무혐의가 더 좋은 이유 (최신 법률 차이점 설명) 무죄보다 무혐의가 더 좋은 이유에 대해서 법률적 차이점을 들어서 살펴보겠습니다. 쉽게 보면 둘다 잘못이 없다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잘 들여다 보면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무죄 판결이 정말 잘 못이 없다는 것이 아닌데요! 그렇다면 어떤 절차적 차이와 법률적 차이가 있길래 무혐의가 더 좋은지 알아볼 필요가 있겠죠! 먼저 살짝 알려드리면, 무죄는 재판을 통해서 결정되고 무혐의는 재판을 통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닌데요! 당연히 재판 결과가 무죄라면 더 좋은 것이 아닌가 하겠지만, 전혀 다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적절한 예시를 들어서 설명해도록 하겠습니다.     ◆ 무죄와 무혐의의 차이점 법적인 판단에서 "무죄"와 "무혐의"는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무죄(無罪) : 재판까지 갔지만, 법원에.. 2025. 3. 22.
현행범 일반인 체포 가능? 신체 및 재산 손상 시 처벌 여부(최신본) 현행범 체포는 일반인도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이와 함께, 체포 과정에서 신체에 손상을 입히거나 재산을 침해한 경우, 법적으로 어떤 처벌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궁금하실텐데요! 오늘은 현행범 체포에 대한 법적 근거와 체포 시 신체 및 재산 손상이 발생했을 경우의 처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현행범 체포: 경찰, 검찰, 일반인 모두 가능 1.1 형사소송법 제211조에 따른 현행범 체포형사소송법 제211조에 의하면, 현행범은 누구든지 체포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즉, 경찰과 검찰은 물론, 일반인도 범죄를 목격하거나 범행 직후 현장에 있는 범인을 체포할 수 있습니다.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현행범 체포는 범죄가 진행 중이거나 범행을 저지르고 바로 직후에 있는 경우에 해당합니.. 2025. 3. 20.
반응형